일반인이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런 시기에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주택에 들어갈 방법은 다양하지만, 그중 LH 행복주택도 있습니다. 이런 행복주택의 입주 조건이나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니 관심이 있으시다면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LH 행복주택이란?
LH에서 운영하는 행복주택이란 청년(19~39세), 신혼부부, 대학생 등 젊은 계층의 주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국가 재정과 주택도시 기금을 지원받아 주변의 시세보다 저렴하게 LH에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합니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정도로 지급이 되며 보다 정확한 임대료는 맨 하단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LH 행복주택 입주 조건
이런 행복주택에 입주하기 위해서는 무주택 조건과 소득,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대상자로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산업단지 근로자 등이 해당합니다. 여기서 신혼부부는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가구와 예비 신혼부부인 무주택세대 구성원 등이 해당합니다.
행복주택 입주를 위한 소득 조건은 해당 세대의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 수별 월평균 소득 100% 이하여야 하며 모집 공고별 조금씩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 기준은 보유 부동산(건물 + 토지)과 같은 총자산은 29,200만 원 이하(2021년 기준), 자동차의 경우 3,496만 원 이하(2021년 기준)여야 LH 행복주택에 입주하실 수 있습니다.
※ LH 행복주택 거주 기간
구분 | 대학생, 청년, 산업단지 근로자 | 신혼부부 창업지원 주택 | 고령자 주거급여 수급자 |
거주 기간 | 최대 6년 | 최대 10년 | 최대 20년 |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확인 방법

임대주택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본인이 직접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시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시기 위해서는 LH 청약센터(https://apply.or.kr)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야 하며 바로 가기를 통해 LH 청약센터에 접속하셔서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셔서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 LH 청약센터 홈페이지 메인 메뉴 '분양·임대정보' 탭의 '임대주택' 클릭
- 자신의 거주지와 기간을 설정하신 후 검색창에 '행복주택' 검색
- 자신이 관심이 있는 행복주택의 입주자 모집공고를 선택
- 자세한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를 확인하기 위해 공고문을 확인
※ 공고문을 통해 자세한 입주 조건, 신청 방법, 준비 서류, 기간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의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확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시면 되며 공고문 아래 첨부파일들도 있으니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LH 행복주택 임대료 (공고문 내용 참고)
- LH 행복주택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시라면 임대료에도 당연히 관심이 있으실 것입니다. 입주자 모집공고를 통해 정확한 임대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래의 표는 '대전 상서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의 임대료 내용입니다.
2021년 대전 상서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임대료 부분 | |||||||||
공급형별 | 공급대상 | 임대조건 | 전환 가능 보증금 한도액(천 원) | 최대전환 시 임대조건 | |||||
임대보증금(천 원) | 월 임대료(원) | ||||||||
계 | 계약금 | 잔금 | 임대보증금(천 원) | 월 임대료(원) | |||||
16A(빌트인) | 대학생 | 13,804 | 690 | 13,114 | 71,320 | (+) 2,000 | 15,804 | 61,320 | |
(-) 11,000 | 2,804 | 94,230 | |||||||
청년 | 소득 무 | 13,804 | 690 | 13,114 | 71,320 | (+) 2,000 | 15,804 | 61,320 | |
(-) 11,000 | 2,804 | 94,230 | |||||||
소득 유 | 14,616 | 730 | 13,886 | 75,510 | (+) 3,000 | 17,616 | 60,510 | ||
(-) 12,000 | 2,616 | 100,510 | |||||||
산업단지 근로자 | 16,240 | 812 | 15,428 | 83,900 | (+) 4,000 | 20,240 | 63,900 | ||
(-) 13,000 | 3,240 | 110,980 | |||||||
26A | 청년 | 소득 무 | 20,468 | 1,023 | 19,445 | 105,750 | (+) 9,00 | 29,468 | 60,750 |
(-) 17,000 | 3,468 | 141,160 | |||||||
소득 유 | 21,672 | 1,083 | 20,589 | 111,970 | (+) 10,000 | 31,672 | 61,970 | ||
(-) 18,000 | 3,672 | 149,470 | |||||||
산업단지 근로자 | 24,080 | 1,204 | 22,876 | 124,410 | (+) 12,000 | 36,080 | 64,410 | ||
(-) 20,000 | 4,080 | 166,070 | |||||||
26B (주거약자) |
고령자(주거약자용) | 22,876 | 1,143 | 21,733 | 118,190 | (+) 11,000 | 33,876 | 63,190 | |
(-) 19,000 | 3,876 | 157,770 | |||||||
36A | 청년 | 소득 무 | 28,050 | 1,402 | 26,648 | 144,920 | (+) 16,000 | 44,050 | 64,920 |
(-) 23,000 | 5,050 | 192,830 | |||||||
소득 유 | 29,700 | 1,485 | 28,215 | 153,450 | (+) 18,000 | 47,700 | 63,450 | ||
(-) 24,000 | 5,700 | 203,450 | |||||||
산업단지 근로자 | 33,000 | 1,650 | 31,350 | 170,500 | (+) 20,000 | 53,000 | 70,500 | ||
(-) 27,000 | 6,000 | 226,750 | |||||||
신혼부부, 한 부모 | 33,000 | 1,650 | 31,350 | 170,500 | (+) 20,000 | 53,000 | 70,500 | ||
(-) 27,000 | 6,000 | 226,750 | |||||||
고령자(주거약자용) | 31,350 | 1,567 | 29,783 | 161,970 | (+) 19,000 | 50,350 | 66,970 | ||
(-) 26,000 | 5,350 | 216,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