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는 잦은 이사로 인해 부담이 되는 청년들을 위해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이사비를 누가 지원받으실 수 있고 어떻게 신청하는지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니 오늘 내용 참고하신 후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해당 연도에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청년 가구를 대상으로 생애 1번 40만 원 한도 내에서 이사비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지원 예산이 한정되어 있으며 이사비는 청소비를 제외한 차량 대여비(개인 용달 포함), 운반비, 포장비 등을 4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해 줍니다.
* 2022년 신청 기간 : 2022년 9월 6일 ~ 11월 16일까지
신청 자격
기본적으로 해당 연도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만 19세 ~ 39세 청년 가구 중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사람만이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상 주소
해당 연도 이후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후 신청일 기준 전입신고가 완료된 청년 가구가 대상입니다. 또한, 주민등록등본상 동거인(부모 등)이 있는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하며 단, 세대주 및 임대차 계약서의 임차인은 신청자 청년 본인이어야 합니다.
* 외국인 및 재외국민 그리고 타인의 명의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경우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소득 조건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고지금액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여야 합니다. 만약,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인 경우 주민등록이 별도 분리되어 있어도 부양자 건강보험료 고지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20%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단위 : 원) | ||||
건강보험료 가구원 수 | 월소득 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인 가구 | 2,334,000 | 82,112 | 36,122 | - |
2인 가구 | 3,912,000 | 137,178 | 129,070 | 138,878 |
3인 가구 | 5,034,000 | 177,454 | 184,453 | 180,075 |
4인 가구 | 6,145,000 | 216,279 | 233,478 | 219,871 |
5인 가구 | 7,229,000 | 254,658 | 281,796 | 260,234 |
거주 주택 기준
주택 및 비주택(고시원 등) 모두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신청이 가능하지만, 임차보증금은 5천만 원 이하이며 월세는 4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단, 전세의 경우 월세액이 없어도 가능하며 월세 거주자는 보증금 없이도 신청 가능합니다.
* 월세 환산액은 3.75% 적용
* 보증금 월세 환산액 = 보증금 x 3.75% /12개월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신청 제외 대상자
① 임차 보증금이 5천만 원을 초과한 청년
② 주택 소유자
③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타기관(중앙부처, 자치구 등)에서 이사비(운반비, 포장비 등), 중개보수 지원을 받은 청년
④ 집주인(임대인)이 신청인의 부모인 경우
⑤ 기초생활 수급자 중 '주거급여'를 지원받는 청년인 경우
신청 방법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신청을 위해서는 청년 몽땅 정보통(youth.seoul.go.kr) 홈페이지에 바로 가기를 통해 접속하셔야 합니다. 홈페이지 '주거' 메뉴 중 '주거비 지원'에 접속하시면 이사비 지원 사업에 대한 안내가 나와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하신 후 상단의 '신청 방법 및 지원 절차' 탭에서 젤 하단 '청년 이사비 지원 신청하기'를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제출 서류 및 선정 결과 발표 일도 해당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예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계층 우선 선정 후 소득 수준에 따라 선정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하면 좋은 정보
서울시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 신청 안내
오늘은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신청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위의 정보를 참고하셔서 지원받아 보시기 바라며 주변 지인들에게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